231224 TIL
20231224
🔥Fact (사실: 무슨 일이 있었나?)
- 자바의 정석 Chapter 01 ~ 02 읽고 ch.07 까지 실습 예제 따라하면서 진도 나감
- 페어 프로그래밍 경험 & 알고리즘 문제 풀기
- 스프링 강의 (주특기 주차 시작)
🔥Feeling (느낌: 무슨 느낌이 들었나?)
- 페어 프로그래밍이라는 것은 하나의 컴퓨터에서 두 사람이 코드를 작업 하는 것인데 알고리즘 문제로 처음 해봤다.
- 지금은 간단한 알고리즘 문제로 페어 프로그래밍을 했지만 실제로 회사에서 중요한 개발 건을 두고 같이 회의하고 작업을 할 때 기본적인 스킬이라는 생각이 들었다.
- 한 문제더라도 여러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고 여러 함수나 메서드를 시도해보면서 시야가 넓어짐을 경험할 수 있다.
- 혼자 붙잡고 있는 것보다 목표가 명확했기 때문에 좀 더 집중력을 가지고 몰입할 수 있었다.
🔥Finding : 그 상황으로부터 내가 배운 것, 얻은 것
- 네비게이터와 드라이버 역할 모두 로직 흐름에 대해서 잘 알고 있어야 한다.
- 나는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을 상대방이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할 수 있는지, 나는 상대방이 원하는 로직대로 코드를 잘 작성할 수 있는지 돌아보면서 개발자로서 소통하고 대화하는 것의 중요성을 느꼈다.
🔥Future action (향후 행동: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까?)
- 빠르게 문제 해결에 도달하는 것에 너무 초점을 두면 한 사람의 방식에 치우칠 수 있다.
- 각자 그 코드에 대해 충분히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본인이 원하는 방향을 명확히 하고
- 절대로 그 때 그 때 답을 알려주지 않도록 주의하도록 해야한다. 자기주도를 잃고 의존성이 높아진다면 상대방이 좌절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.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